전체 글 25

[미국증시] 소비자 물가지수(CPI) :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CPI) : 경제의 체온계이자 가계의 생활지표  CPI의 본질과 역사적 기원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도시 소비자들이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경제 지표입니다. 1919년 미국에서 처음 도입된 이 지표는 제1차 세계대전 직후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인해 생활비 조정이 필요해지면서 개발되었습니다. 현재는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공식적인 인플레이션 측정 도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CPI는 "소비자 물가 바구니" 개념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바구니에는 일반 가계가 정기적으로 구매하는 458개 품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식료품(23%), 주거비(33%), 교통(16%), 의료(9%), 교육(7%), 문화생활(12%) 등..

[미국증시] 생산자 물가지수(PPI) :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 물가지수(PPI): 경제의 선행 신호생산자 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는 국내 생산자가 상품과 서비스 판매 시 받는 평균 가격의 변화를 측정하는 경제 지표입니다. 이는 생산자의 관점에서 도매 수준의 물가 변동을 보여주며, 소비자 물가지수(CPI)와 함께 인플레이션을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PPI는 단순한 가격 지표를 넘어 경제 정책 수립, 기업 경영 전략, 금융 시장 분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PI란 무엇인가?PPI는 특정 기간 동안 생산자가 받는 판매 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하며, 주로 도매 및 산업 수준에서의 물가 변동을 반영합니다. 이 지표는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에서 매월 발표..

[미국증시] 고용보고서 : Employment Situation Report

고용보고서(Employment Situation Report) :경제의 맥박을 읽는 핵심 지표 미국 경제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가장 중요한 검진서인 **고용보고서(Employment Situation Report)**는 매월 첫 번째 금요일 미국 동부시간 오전 8시 30분(한국 시간 기준 밤 9시 30분)에 발표됩니다. 1940년대부터 지속되어온 이 보고서는 122,000개 기업체와 60,000가구의 데이터를 종합해 노동시장의 생생한 현장을 보여주며, 경제 정책부터 금융시장의 움직임까지 전 세계에 파장을 일으킵니다.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 경제의 방향성, 정책 결정의 근거, 투자 전략의 초석으로 기능하는 이 보고서의 메커니즘과 영향력을 파헤쳐봅니다.   고용보고서의 해부학: 두 개의 렌즈로 본 노동시..

[인사] 홀랜드(Holland)의 성격-직무적합

진로심리학자 홀랜드의 성격-직무 적합 이론은 육각형 모형(RIASEC)으로도 불리며, 개인의 성격 특성과 직무 환경 간의 적합도(fit) 개념에 기초하고 있습니다. 그는 인간의 성격을 여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으며, 개인의 성격과 직무 환경이 얼마나 조화를 이루느냐에 따라 직무 만족도와 이직 의도가 결정된다고 보았습니다.홀랜드 검사는 아래 여섯 가지 성격 유형을 기본으로 하며, 검사 결과에서 가장 두드러진 두세 가지 유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성격 유형과 진로 방향을 설정합니다.  1. R형 (실제형, Realistic)사물을 다루는 활동을 선호하며, 기계 조작, 도구 사용, 신체적 활동에 능숙한 편입니다. 조용하고 말수가 적으며, 혼자 운동을 하거나 기계 조립 및 분해를 즐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주로..

[인사] 신입사원 이직 원인 파악과 정착화 방안

신입사원의 조직 이직, 그 원인과 해결책은?요즘 많은 기업이 신입사원의 빠른 이직 문제로 고민하고 있습니다. 힘들게 채용한 인재가 1년도 채 되지 않아 떠난다면 기업 입장에서는 큰 손실일 수밖에 없습니다. 그렇다면 신입사원들은 왜 이직을 결심할까요? 그리고 어떻게 하면 이들의 조기 정착을 돕고, 조직에 오래 머물도록 할 수 있을까요?  신입사원의 조직 이직에는 몇 가지 대표적인 원인이 있습니다. 이를 설명하는 개념이 ‘3대 증후군’입니다. 첫 번째는 파랑새 증후군(Bluebird Syndrome)입니다. 신입사원들이 지금보다 더 좋은 직장이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으로 끊임없이 이직을 추구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완벽한 직장을 찾아 헤매지만, 정작 현실에서는 기대에 부합하는 곳을 찾기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