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15

[미국증시] 소매 판매 (Retail Sales)

소매 판매 (Retail Sales) : 경제의 맥박을 짚는 핵심 지표  소매 판매의 본질적 의미 소매 판매(Retail Sales)는 일반 소비자가 소매업체에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총액을 측정하는 경제 지표입니다. 이 데이터는 일상적인 소비 활동을 정량화하여 경제 활동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중요한 척도로 활용됩니다. 미국의 경우 상무부 인구조사국에서 매월 발표하며, 약 13개 산업 분류의 소매업체 데이터를 기반으로 구성됩니다.    소매 판매 지표의 구조적 특징 1. 주요 구성 요소자동차 및 부품 판매: 전체 지표의 약 20% 차지식품 서비스: 카페와 레스토랑 지출 반영전자상거래: 디지털 경제 성장을 반영하는 핵심 요소주유소 매출: 유가 변동성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반영 2. 핵심 지표 구분전체 ..

[미국증시] GDP (국내총생산) : Gross Domestic Product

GDP(국내총생산) : 투자자라면 반드시 이해해야 할 핵심 경제지표     GDP의 본질과 투자적 의미 GDP는 한 국가의 경제적 생산 활동을 총합적으로 나타내는 가장 포괄적인 지표입니다. 투자자에게 GDP는 경제의 기본 체력을 진단하는 '의료검진 보고서'와 같습니다. 이 지표는 다음과 같은 투자적 가치를 지닙니다. 경기 사이클 판단 : 2분기 연속 GDP 감소 시 기술적 경기침체로 판단산업별 성과 비교 : 제조업 vs 서비스업 성장률 차이 분석국가 경제력 평가 : 글로벌 투자 자금 배분의 기준이 됨     투자 결정의 3대 축에서 본 GDP 1. 자산 배분(Asset Allocation)GDP 성장률은 주식(60%), 채권(30%), 현금(10%) 등 포트폴리오 구성의 기본 틀을 제공합니다. 성장률 1..

[미국증시] 소비자 물가지수(CPI) : Consumer Price Index

소비자 물가지수(CPI) : 경제의 체온계이자 가계의 생활지표  CPI의 본질과 역사적 기원 소비자 물가지수(Consumer Price Index, CPI)는 도시 소비자들이 일상적으로 구매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평균 가격 변화를 측정하는 경제 지표입니다. 1919년 미국에서 처음 도입된 이 지표는 제1차 세계대전 직후 급격한 물가 상승으로 인해 생활비 조정이 필요해지면서 개발되었습니다. 현재는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에서 공식적인 인플레이션 측정 도구로 사용되고 있습니다.CPI는 "소비자 물가 바구니" 개념을 기반으로 합니다. 이 바구니에는 일반 가계가 정기적으로 구매하는 458개 품목이 포함되어 있으며, 식료품(23%), 주거비(33%), 교통(16%), 의료(9%), 교육(7%), 문화생활(12%) 등..

[미국증시] 생산자 물가지수(PPI) : Producer Price Index

생산자 물가지수(PPI): 경제의 선행 신호생산자 물가지수(Producer Price Index, PPI)는 국내 생산자가 상품과 서비스 판매 시 받는 평균 가격의 변화를 측정하는 경제 지표입니다. 이는 생산자의 관점에서 도매 수준의 물가 변동을 보여주며, 소비자 물가지수(CPI)와 함께 인플레이션을 평가하는 중요한 도구로 사용됩니다. PPI는 단순한 가격 지표를 넘어 경제 정책 수립, 기업 경영 전략, 금융 시장 분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됩니다. PPI란 무엇인가?PPI는 특정 기간 동안 생산자가 받는 판매 가격의 평균 변화를 측정하며, 주로 도매 및 산업 수준에서의 물가 변동을 반영합니다. 이 지표는 미국 노동통계국(Bureau of Labor Statistics, BLS)에서 매월 발표..

[미국증시] 고용보고서 : Employment Situation Report

고용보고서(Employment Situation Report) :경제의 맥박을 읽는 핵심 지표 미국 경제의 건강 상태를 진단하는 가장 중요한 검진서인 **고용보고서(Employment Situation Report)**는 매월 첫 번째 금요일 미국 동부시간 오전 8시 30분(한국 시간 기준 밤 9시 30분)에 발표됩니다. 1940년대부터 지속되어온 이 보고서는 122,000개 기업체와 60,000가구의 데이터를 종합해 노동시장의 생생한 현장을 보여주며, 경제 정책부터 금융시장의 움직임까지 전 세계에 파장을 일으킵니다. 단순한 통계 수치를 넘어 경제의 방향성, 정책 결정의 근거, 투자 전략의 초석으로 기능하는 이 보고서의 메커니즘과 영향력을 파헤쳐봅니다.   고용보고서의 해부학: 두 개의 렌즈로 본 노동시..